Skip to content

70. 복구할 수 있는 상황에는 검사 예외를, 프로그래밍 오류에는 런타임 예외를 사용하라 #165

New issue

Have a question about this project? Sign up for a free GitHub account to open an issue and contact its maintainers and the community.

By clicking “Sign up for GitHub”, you agree to our terms of service and privacy statement. We’ll occasionally send you account related emails.

Already on GitHub? Sign in to your account

Open
JoisFe opened this issue Mar 20, 2023 Discussed in #164 · 0 comments
Labels
10장 예외 이펙티브 자바 10장 (예외)

Comments

@JoisFe
Copy link
Member

JoisFe commented Mar 20, 2023

Discussed in https://github.com/orgs/Study-2-Effective-Java/discussions/164

Originally posted by JoisFe March 20, 2023

70. 복구할 수 있는 상황에는 검사 예외를, 프로그래밍 오류에는 런타임 예외를 사용하라

throwable (문제 상황을 알리는 타입)

  • 자바는 throwable로 검사 예외, 런타임 예외, 에러 이렇게 3가지를 제공
  • 이 3가지를 언제 무엇을 사용해야하는지 헷갈리는 경우가 있음

검사 예외, 런타임 예외, 에러 3가지를 언제 무엇을 사용할지 지침

  • 앞으로의 지침이 100% 명확한 것은 아님!!

1. 호출하는 쪽에서 복구하리라 여겨지는 상황이라면 검사 예외를 사용

  • 이 지침이 검사와 비검사 예외를 구분하는 기본 규칙
  • 검사 예외를 던지면 호출자가 그 예외를 catch로 잡아 처리하거나 더 바깥으로 전파하도록 강제하게 됨
  • --> 메서드 선언에 포함된 검사 예외 각각은 그 메서드를 호출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유력한 결과임을 API 사용자에게 알림
  • (API 설계자는 API 사용자에게 검사 예외를 던져 그 상황에서 회복시키라 요구)
  • 물론 사용자는 예외를 잡기만 하고 별 조치를 취하지 않을 수 있음 다만 이는 좋지 않음 (아이템 77 참고)

비검사 throwable 2 가지

  1. 런타임 에러
  2. 에러
  • 공통점 : 프로그램에서 잡을 필요가 없거나 혹은 통상적으로는 잡지 말아야 함
  • 프로그램에서 비검사 예외 혹은 에러를 던졌다는 것은 복구가 불가능하거나 더 실행해봐야 득보다 실이 더 많다는 뜻
  • 해당 throwable을 잡지 않은 스레드는 적절한 오류 메시지를 내뱉으며 중단됨

2. 프로그램 오류를 나타낼 때는 런타임 예외를 사용

  • 런타임 예외의 대부분 경우 전제조건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전제조건 위배

  • 단순히 클라이언트가 해당 API의 명세에 기록된 제약을 지키지 못했다는 뜻
  • ex) ArrayIndexOutOfBoundsException : 배열의 인덱스는 0에서 배열 크기 -1 사이 여야하는 전제조건을 지키지 못한 것

제약은 조건에서 문제가 하나 있다면 복구할 수 있는 상황인지 프로그래밍 오류인지가 항상 명확히 구분되지 않음

  • ex) 자원 고갈은 말도 안 되는 크기의 배열을 할당해 생긴 프로그래밍 오류일 수도 있고, 진짜로 자원이 부족해서 발생한 문제일 수 있음. 만약 자원이 일시적으로 부족하거나 수요가 순간적으로 몰린 것이라면 충분히 복구 가능
  • 즉 복구될 수 있는지 없는지의 판단의 API 설계자의 몫

위의 판단을 내리지 못할 경우 즉 확신하기 어렵다면 아마도 비검사 예외를 선택하는 편이 나음

  • 해당 이유는 아이템 71 참고

3. 구현하는 비검사 throwable은 모두 RuntimeException의 하위 클래스여야 함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 에러는 보통 JVM이 자원 부족, 불변식 깨짐 등 더 이상 수행을 계속할 수 없는 상황을 나타낼 때 사용
  • 자바 언어 명세가 요구하는 것은 아니지만 업계에 널리 퍼진 규약
  • Error 클래스를 상속해 하위 클래스를 만드는 일은 자제 (Error를 상속하지 말아야)
  • 또한 throw 문으로 직접 던지는 일도 없어야 함 (AssertionError 경우 예외)

throwable을 언제 사용?

  • Exception, RuntimeException, Error을 상속하지 않는 throwable을 만들 수도 있음
  • 자바 언어 명세에서 이런 throwable을 직접 다루지는 않지만 암묵적으로 일반적인 검사 예외 (Exceptiond의 하위 클래스 중 RuntimeException을 상속하지 않은) 처럼 다룸

throwable은 이로울 게 없으니 절대 사용하지 말아야 함!!!!!!

  • throwable 경우 정상적인 검사 예외보다 나을 게 하나도 없으면서 API 사용자를 헷갈리게 할 뿐
  • API 설계자 또한 예외 역시 어떤 메서드라도 정의할 수 있는 완벽한 객체라는 사실을 잊곤 함...

예외의 메서드

  • 예외의 메서드 경우 주로 그 예외를 일으킨 상황에 대한 정보를 코드 형태로 전달하는데 쓰임
  • 이런 메서드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프로그래머들은 오류 메시지를 파싱해 정보를 빼내야하는 불편함을 겪게 될 것임 (이러한 습관은 매우 나쁨 아이템 12. toString을 항상 재정의하라 #32 참고)
  • throwable 클래스들 대부분은 오류 메시지 포맷을 상세히 기술하지 않는데 이는 JVM이나 릴리스에 따라 포맷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임
  • --> 메시지 문자열을 파싱해 얻은 코드는 깨지기 쉽고 다른 환경에서 동작하지 않을 수 있음

검사 예외와 예외의 메서드

  • 검사 예외는 일반적으로 복구할 수 있는 조건일 때 발생
  • --> 호출자가 예외 상황에서 벗어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알려주는 메서드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중요

정리

  • 복구할 수 있는 상황이면 --> 검사 예외
  • 프로그래밍 오류라면 --> 비검사 예외
  • 확실 하지 않다면 --> 비검사 예외
  • 검사 예외도 아니고 런타임 예외도 아닌 throwable은 정의하지 말아!!
  • 검사 예외 경우 복구에 필요한 정보를 알려주는 메서드를 제공하자!
@JoisFe JoisFe added the 10장 예외 이펙티브 자바 10장 (예외) label Mar 20, 2023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
Labels
10장 예외 이펙티브 자바 10장 (예외)
Projects
None yet
Development

No branches or pull requests

1 participant